논리형타입

Java 004. 변수(Variable)

2023. 3. 18. 23:47

변수(Variable)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이다.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려면 변수를 선언하고, 변수에 값을 지정하면 된다.

하나에 변수에 동시에 두 가지 값을 저장할 수 없다.

실행결과


 

기본형(primitive type) 변수

기본형 변수는 실제 연산에서 사용되는 변수이다.

자바의 기본 데이터 타입
정수형 타입 byte short int long char
실수형 타입 float double      
문자형 타입 char        
논리형 타입 boolean        

정수 타입

byte : 1 byte ( = 8 bits). -128 ~ 127 까지의 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short : 2 byte ( = 16 bits). 2의 15승( -32,768 ~ 32,767 ) 까지의 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int : 4 byte ( = 32 bits). 2의 32승(-2,147,483,648 ~ 2,147,483,647) 까지의 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long : 8 byte ( = 64 bits). 2의 64승(대략 9경) 까지의 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실수 타입 

float : 4 byte.
 
double : 8 byte. 실수형 타입 중 기본이 되는 타입이다.
 
 

논리형 타입

boolean : 1 byte. 

boolean은 참(true)나 거짓(false) 중 한 가지 값만을 가질 수 있다.

기본 값은 false이다.

 

실행결과


문자형 타입 

char : 2 byte. ( = 16 bits).
65,536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작은 정수나 문자 하나를 표현할 수 있는 타입을 의미한다.
유니코드(unicode)를 사용하여 문자를 표현한다. 유니코드는 각 나라의 모든 언어를 표현할 수 있다.
문자 1개, 작은따옴표( ' ' )를 사용한다.

컴퓨터는 문자를 저장할 때 문자에 해당하는 코드값(정수)를 저장한다.

 

 

문자열(string) : 문자들의 배열. 큰따옴표( " " )를 사용한다.

실행결과

타입 변환

자동 타입 변환

: 자동으로 타입이 변환되는 것을 말한다. 값의 허용 범위가 작은 타입이 허용벙위가 큰 타입으로 저장될 때 발생한다.

 

강제 타입 변환

: 강제로 타입을 변환 하는 것을 말한다. 값의 허용 범위가 큰 타입을 허용 범위가 작은 타입으로 쪼개어서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문자열 결합 연산

: 문자열과 +연산을 하면 다른 피연산자도 문자열로 변환되어 문자열 결합이 일어난다.

 

Integer.parselnt()

: 문자열을 정수(int)타입으로 변환한다.

 

Double.parseDouble()

: 문자열을 실수(double)타입으로 변환한다.

 

변수 선언, 값 저장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 먼저 반드시 변수를 선언 하고 초기화 해야한다.

변수를 초기화 하지 않고 선언만 한다면 오류가 발생한다.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에는 대입연산자 (=)를 사용한다.

대입연산자 (=) 는 자바에서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변수 이름을 만드는 문법 / 관습

  1. 변수 이름은 알파벳, 숫자, underscore(_)를 사용한다.
  2. 변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3. 자바의 키워드(int, if, for ...)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4. 같은 이름으로 변수를 두 번 선언할 수 없다.
  5. 변수 이름은 영문 소문자로 시작하는 것을 권장한다.
  6. 변수 이름을 2개 이상의 단어로 만들 때는 camel 표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ex) VariableMain ,  BusinessPerson ...

+ Recent posts